빅데이터, AI 등 IT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저장해야할 데이터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요.
그래서 이러한 데이터들을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가성비 있게 잘 저장하고자 여러 기술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죠~
그렇다면 데이터를 저장해줄 대표적인 Storage 3개(Block, File, Object Storage)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Storage 3개의 특징을 잘 이해하고 알아둔다면
데이터 특성에 따른 Storage 아키텍처 설계는 물론 특성을 고려한 개발까지 완벽하게 해낼 수 있어요!
Block Storage
Block Storage(=블록 스토리지)는 말 그대로 데이터를 일정한 블록 단위로 분산하여 저장하는 스토리지 유형이에요.
블록 스토리지는 대개 주차장을 빗대어 설명이 이루어지는데,
주차장의 한 구획을 일정한 블록 단위로 보고 그 안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형태로 볼 수 있으며,
각 블록별로 발렛파킹 형태로 내 키를 맡기고 누군가 주차를 해주는 형태로 볼 수 있죠.
이러한 저장 방식으로 인해 블록 스토리지는 각 블록별로 고유 주소(ex. 내 차 키)를 할당받게 돼요.
그러고 나면 파일을 찾을때 각 고유 주소를 호출해서 블록들을 재구성해서 완전한 데이터를 불러오게 되는거죠.
이러한 구조와 특징으로 인해 블록 스토리지는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로드해야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주로 사용하게 돼요.
정기적이다보니 블록 스토리지는 빠른 조회 속도 성능을 갖추게 되고, 가급적이면 작은 파일일수록 성능은 더 좋아지게 되죠.
단, 데이터 처리가 다소 제한적이고 도입 비용이 비싸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요.
이러한 블록 스토리지는 대표적으로 SAN(Storage Area Network)에 사용되고는 합니다.
File Storage
File Storage(=파일 스토리지)는 우리가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스토리지 유형이에요.
파일 스토리지는 폴더와 파일의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 방식으로
쉽게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윈도우 탐색기 폴더 구조로 생각해볼 수 있어요.
윈도우 탐색기와 유사한 구조로 동작하다 보니
파일은 이름, 위치, 크기, 생성일 등의 메타 데이터를 가지고 있게 되고
이러한 파일 스토리지는 대표적으로 NAS(Network Attached Storage)에 사용되고는 합니다.
Object Storage
Object Storage(=오브젝트 스토리지)는 개체(Object)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유형이에요.
앞서 설명한 블록 스토리지가 발렛파킹이 가능한 주차장이었다면,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운전자가 셀프로 주차하는 대규모 주차장으로 볼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블록 스토리지에 비하여 차량을 찾는데 시간이 걸리지만,
많은 수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죠.
이러한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데이터별로 개체로 저장되고,
각 개체는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와 고유 이름(식별자)을 가지고 있다고 조회되게끔 되어 있어요.
오브젝트 스토리지의 가장 큰 장점은 블록 스토리지 대비 비용이 저렴하고
스토리지의 용량이 제한적이지 않아 확장성이 좋다고 할 수 있어요.
이러한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대표적으로 오디오, 로그, 동영상, 이메일 등의
대용량이면서도 비정형인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되고는 합니다.
지금까지 3개의 대표적인 스토리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어떤 스토리지가 상대적으로 우월하다고 할수는 없고, 각 스토리지별로 장점과 단점이 있으니
도입하는 서비스 혹은 데이터의 특성에 맞게 하이브리드로 잘 조합해서 사용한다면,
비용 대비 최적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게 돼요~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드(WORD) 줄 간격 조정 및 줄 간격 옵션 (0) | 2023.06.26 |
---|---|
PowerPoint(ppt) 정렬 및 맞춤 (0) | 2023.06.23 |
PowerPoint(PPT) 도형 모양 변경 (0) | 2023.06.21 |
PowerPoint(PPT) 눈금자 표시 (0) | 2023.06.18 |
엑셀(Excel) 중복된 항목 제거 알아보기 (0) | 2023.06.13 |